한국인에게 막걸리는 무엇인가 제목의 책을 알라딘 서점에서 한 권 샀다
오래 만에 책을 읽으니 눈이 어두워서 그런지 졸린다.
막걸리는 우리 조상들의 혼이다.
고구려를 건국한 동명성왕 의 탄생에도 술이 등장 한다
어느 날 하백의 세 딸이 강가에서 놀고 있었는데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그 딸들의 아름다움에 반하여 화려한 궁궐을 지어서
그들을 초대 하여 금잔에다 술을 권하니 그 술을 마시고 딸들이 취하자
그중에서 큰딸 유화와 인연을 맺어 주몽이 탄생한다.
해모수도 여자를 유혹 할 때 술을 이용한 것이다
그 때 만약에 유화가 술에 취하지 않았다면 고구려의 시조 주몽이
탄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술은 참 좋은 것이다
그래서 우리 민족을 음주가무 민족이라 하는 것인지 모른다.
술에 대한 노래도 참 많다
대표적인 것이 80년대 유행 하였던 고래사냥이다
그 때의 시대상을 풍자한 노래이지만 얼큰하게 한 잔 하고 부르면 신이난다
술 마시고 노래하고 춤을 춰 바도 보이는 건 모두 슬픔뿐이네~~
무엇을 할 것인가 둘려 보아도 모두가 돌아앉았네.
자~~마시자 한 잔의 술 자~ 마시자 한 잔의 추억 참 많이도 불렸다
술의 역사는 아마도 인류가 지구상에 탄생한 그 때부터 일지도 모른다.
모든 과일이 발효 되면 술이 되니 말이다
탈무드에 보면 포두주의 탄생도 그렇다
어느 날 농부가 과일 나무를 한그루 심고 있었다.
그 때 악마가 그것을 보고 동업을 하기로 한다.
악마는 양“ 원숭이” “돼지를 끄고 와서 죽여 그 피로 거름을 주어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서 열매를 맺었는데 핏빛인 열매가 열렸다
그것이 포도의 기원이라고 하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그런지 술은 한잔 마시면 양처럼 온순 해 지고
두 잔 마시면 원숭이처럼 노래하고
세 잔 마시면 사자처럼 거칠어지고
넉 잔 마시면 돼지처럼 추해서 아무데나 뒹구는 것인지도 모른다.
술은 예의다 주도라는 것이 그래서 있는데 주도를 모르는
사람과 술을 마시면 술이 아니라 독이다.
주도 없이 술을 마신다는 것은 술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술에 대한 모독이다
삼국시대에 미인주라고 있었다.
미인들이 곡식을 씹어서 침과 섞어 뱉으면 그것으로
술을 담가 발효가 잘 되어서 맛있는 술이 되었다 한다.
이 수광이 쓴 지붕유설에 기록이 되어 있다.
이제 나이가 드니 술한테 서서히 정복당하는 것 같아서 마음이 쓰리다
살아오는 동안 내가 마신 술이 수십 드럼은 되지 않을까
돈으로 환산 하면 빌딩 서 너 채는 될 것 같은데 참 후회 없이 마셨다
현재도 진행형이다.
술은 적당히 마시면 보약 이지만 과하면 독이된다
과유불급이다.
허주.